전체 글

능이 개발자의 블로그
· CS/오류
is assigned a value but never used 에러는 변수가 선언되었지만 사용되지 않았을때 나타나는 에러로, 이 변수를 사용하거나 불필요한 변수 선언을 제거해야 해결되는 에러입니다. 하지만, 변수를 사용해도 ESLint가 인지를 못해서 에러를 일으킬 때가 종종 있는데, 이 경우에는 에러가 난 코드 옆에 주석으로 //eslint-disable-line no-unused-vars 를 적어주면 오류 해결!
이번 글에서는 디자인 패턴의 종류 중 하나인 싱글톤 패턴에 대해 다뤄볼 것입니다. 싱글톤 패턴이란?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은 객체의 인스턴스를 단 하나만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을 의미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어떤 클래스에 대해 최초 한 번만 메모리를 할당(static)하고 해당 메모리에 인스턴스를 만들어 사용하는 패턴입니다. 생성자를 여러번 호출해도, 실제로 생성되는 객체는 하나이며 최초로 생성된 이후에 호출된 생성자는 이미 생성한 객체를 반환시키도록 합니다. 주로 공통된 객체를 여러개 생성해서 사용해야하는 상황(예: 데이터베이스 커넥션풀, 스레드풀, 캐시, 로그 기록 객체 등)에 사용합니다. 싱글톤 패턴 구현방법 싱글톤 패턴의 기본적인 구현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u..
Hash Table이란 해쉬테이블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자료구조입니다. 효율적인 탐색(빠른검색)을 위한 자료구조로써 key-value쌍의 데이터를 입력받습니다. 해시 테이블은 효율적인 데이터 접근을 위해 해시 함수(Hash Function)를 사용하여, key 값으로 해시 값으로 변환하고, 이 해시 값을 인덱스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합니다. 데이터의 삽입, 검색, 삭제 등의 연산의 시간복잡도는 평균적으로 O(1)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실무에서도 많이 활용되는 자료구조로써 개발자라면 꼭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Collision(충돌) Collision이란 서로 다른 key 값의 해시 값이 똑같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Collision이 최대한 적게 발생 하도록 HashFuncti..
1. OOP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 중 하나로, 객체(object)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방법입니다. 객체는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는 메서드(method)의 묶음으로 구성되며,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프로그램이 동작합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현실 세계의 객체를 모델링하는 방식으로, 객체를 중심으로 코드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객체는 속성(attribute)과 행위(behavior)를 가지며, 속성은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고, 행위는 객체가 수행하는 작업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라는 객체는 '속도', '연비', '색상' 등의 속성과 '전진', '후진', '정지' 등의 행위..
능이개발자
능이개발자의 블로그